뉴욕증시 침체 우려 혼조
미국 뉴욕 증시는 '자이언트 스텝'(금리 인상 0.75% 포인트) 이후 들썩이고 있습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8.29포인트(0.13%) 내린 29.888.78로 마감했습니다. 다만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8.07포인트(0.22%) 오른 3,674.84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2.25포인트(1.43%) 오른 10.798.35로 장을 마쳐 더욱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15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하자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구제 랠리'를 펼치며 큰 폭으로 반등했지만 16일 나란히 급락했습니다. 전날 다우지수는 1년 5개월 만에 3만 선을 내줬고, 나스닥도 4% 급락세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다우·나스닥, 금주에 각각 4.8%↓…0.75% P 금리인상 후 '오락가락 장세'
연준의 광범위한 금리 인상이 향후 경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 어쩔 줄 모르는 모습입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수석 분석가인 존 카나반은 CNBC에 "변동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는 증가하는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이 개별 종목의 선물·옵션 만기가 겹치는 '4인 마녀의 날'(4인 마녀의 날)이라는 점에서 뉴욕 증시의 변동성이 더 커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주간 기준으로 이번 주 S&P 500 지수는 5.8% 하락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시작된 2020년 3월 이후 최악의 주였습니다.
이번 주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4.8% 하락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지난 12주 동안 11번째 주간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기 시작했다는 징후가 포착되기 전까지는 증시의 침체가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