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구 950만 명 아래로…1천만 명 무너진 지 6년만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국내)가 950만 명 선까지 무너졌습니다. 인구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지 6년 만입니다. 6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949만 688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처음 천만 명이 깨진 것은 2016년 5월 말로, 당시 999만 5천 명을 기록했습니다. 그 이후로, 사람들의 수가 50만 명 더 감소하는 데 6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2010년 말 기준 1,031만 명에 달했지만, 이후 매년 감소세로 돌아서 지금까지 80만 명 이상 감소했습니다. 2020년 말 서울 인구는 내국인(966만 8465명)과 외국인 등록(24만 2623명)을 포함해 991만 1088명으로 1988년 말 이후 3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 명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서울의 인구는 도시화와 산업화의 유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1992년 내외국인 1,997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했습니다.
서울 인구 950만 명 붕괴…"이대로 가면 2050년 720만명"
서울을 둘러싼 경기도 신도시 개발과 저출산으로 서울 인구가 계속 유출되면서 인구 감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상일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실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하락 속도가 빠르다"며 "아직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서울을 떠나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있어 위기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서울과 달리 경기도의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말 기준 경기도에 등록된 주민 수는 1,358만 1,496명으로 서울보다 약 4,085,000명이 더 많습니다. 2010년 말 서울·경기 인구(1178만 명)는 147만 명이었지만 격차는 크게 벌어졌습니다. 경기도의 인구는 2012년에 1,200만 명을 돌파했고, 2018년에 1,300만 명을 넘어선 후 1,400만 명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은 지난달 수도권 신규 주택 공급이 많은 것이 서울 인구 유출의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주한 사람들은 자가용과 아파트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고, 거주 면적도 증가했습니다. 단순히 저렴한 집을 찾는 것보다 결혼으로 가족이 늘어나면서 '거미집' 등 질 좋은 주거공간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서울에서 하남·화성·김포·시흥·남양주 등 대규모 도시개발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서울의 인구 감소 문제는 앞으로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달 저출산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184만 명에서 2050년 4천736만 명으로 8.6% 줄고, 서울 인구는 2020년 962만 명에서 2050년 720만 명으로 25.1% 감소합니다. 김 서울연구원장은 "인구가 자연스럽게 줄고 3기 신도시도 준비되고 있어 인구 감소가 가파를 수 있다"라고 예측했습니다. 우리는 서울과 주변 지역들 사이에서 역할을 분담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장거리 통근하는 사람들의 시간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