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한민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준비 '이상 무'

 

"우리는 한국 최초의 우주 탐사선인 다누리를 발사하고 작동시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상률 대전 한국항공우주 연구원장은 3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부에서 열린 우주탐사선 다누리호 현장 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다누리는 플로리다에 있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로 이송되기 전에 이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그동안 다누리는 극저온·고온·전자파 시험 등 우주환경 시뮬레이션 테스트와 표면 다층박막 절연장치(MLI), 선적 전 검토(PSR) 등을 완료해 발사장까지 이송이 가능한지 확인했습니다.

 

무게 678kg, 무게 2.14 ×1.82 × 2.19m인 다누리는 감마선 분광기, 우주 인터넷 페이로드, 영구 음영 영역 카메라, 자기장 측정 장치, 광역 편광 카메라, 고해상도 카메라를 장착했습니다. 오는 7월 5일 항우연을 특수 컨테이너로 출발하는 다누리는 오는 8월 3일 오전 8시 20분 발사되는 스페이스 X의 팰컨 9 발사체에 달로 가기 위한 탄도미사일(BLT) 궤도에 진입합니다.

BLT는 지구, 태양, 달과 같은 행성의 중력 특성을 이용해 적은 에너지로 달까지 비행하는데, 이는 직접 전달 방식에 비해 연료 소비를 약 25%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도 마침내 달에 간다… 채비 마친 '다누리', 우주탐사 첫걸음 뗀다

 

다만 비행시간은 80~140일 정도로 다른 환승방법보다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달 궤도에 진입한 다누리는 태양전지판과 안테나 등 정상 작동을 위한 작전 및 점검을 수행하고, 약 4개월 반 동안 총 9차례의 궤도 보정 기동훈련을 실시해 계획된 궤적을 따라 달에 접근합니다. 오는 12월 16일 달 궤도에 도착하는 다누리는 최종 임무 궤도에 안착하기 위해 5차례 궤도 진입 기동훈련을 하고, 12월 31일에는 100㎞ 달 궤도에 진입해 1년간 과학 임무 탑재물을 통해 임무를 수행한다. 달 상공 100㎞ 미션 궤도를 하루 12차례 돌며 달 관측, 달 착륙 후보지, 달 과학 연구(자기장, 방사선 관측 등), 우주 인터넷 기술 등을 검증합니다.

 

다누리의 달 천이 과정과 달 궤도 임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미션 운영센터에 의해 통제됩니다. 운영센터는 다누리의 초기 운영관리를 위해 약 6개월 동안 60여 명의 운영자가 참여한 가운데 총 6회, 216시간을 연습하며 미션을 준비했습니다. 이 원장은 "다누리를 통해 우주탐사 기반 기술을 확보해 세계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