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화물연대 조합원 오늘 19명 체포… 강경 대응 의지 확고
물가가 오르고 임금이 오르는데 왜 우리 화물차가 똑같을까요? 제가 어떻게 더 이상 버틸 수 있겠어요? 정말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어요."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안전 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지 이틀째입니다.
전날(7일) 0시부터 총파업이 시작됐고, 서울·경기지역본부 등 전국 16개 지역본부에서 15개 기지 출범식이 열렸습니다. 서울과 경기지역본부가 기념식을 개최한 의왕 내륙 컨테이너 기지(ICD)입니다. 중간에 파업 중임을 알리는 노래와 확성기가 들리고 전운이 감돌았습니다. 지난 8일 오후 노조원 200여 명이 뙤약볕 아래 도로변과 천막에 앉아 있었습니다. 노조원들은 교대로 무기한 총파업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킬 것입니다. 의왕 ICD는 이날까지 컨테이너를 반납하러 오는 차량 외에는 운행 중인 차량이 없어 물리적 충돌은 없었습니다.
화물연대 '무기한 총파업' 이틀째…"목숨 걸고 나왔다" 노동자들의 절규
전날 기념식을 시작으로 텐트에서 밤을 보낸 한 50대 조합원은 "의왕 ICD에서 하루 평균 1800대가 이동되는데 비조합원은 일할 것이 남아 있지 않아 영업을 하지 않는다"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경유값이 폭등하면서 할 일이 없어졌습니다. A 씨는 "예를 들어 20만 원이 운임일 때 여기서 기름값, 도로 값, 교통비, 식사비 등을 모두 빼면 수익이 수만 원도 안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최저임금이 지금 9,160원인데, 5시간, 6시간 운전해도 1시간 동안 일을 할 수 없어요."
"우리는 교체할 때마다 차량에 들어가는 다양한 소모품을 교체해야 합니다. 게다가 지난번 원소 수가 많았을 때 올라갔던 원소 개수 가격도 그래서 원소 개수 가격만 20만 원이었는데 지금은 50만 원이에요"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이제 저는 정말 버틸 힘이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A 씨는 "과거 신차가 1억 5000만 원이었다면 지금은 2억 원이 넘습니다. 그 위에 특수 장비를 얹으면 2억 5천만 원, 3억 원이 든다"라고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70개월, 80개월 할부비, 기름값 등을 설치하면 정말 남는 게 없습니다."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 29% 6천500명 참여… 전국 곳곳 충돌-운송 차질
노조원 B 씨는 "화물노동자 대부분이 40대 이상 가장인데, 우리가 절박하면 생업을 포기하고 노상 생활을 하겠느냐"라고 반문했습니다. 그러면서도 "평생 아이들 먹여 살리기 위해 도로에서 일하는데, 적어도 길 위에서 게스트하우스 정도는 해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호소했다. 전국 42만 화물노동자에 딸린 가족 수는 4인 기준 약 200만 명입니다. B 씨는 "밀가루 가격 상승으로 짜장면 가격이 올랐다고 생각하는 게 왜 다른가요? 말 그대로 기름을 주원료로 하고 있는데 기름값이 올랐으니 운송료를 올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나 정부와 운송업자는 모두 조용했고 결국 우리에게 넘어갔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경유값이 1,300원일 때는 월 판매량이 1,000만 원이면 기름값, 도로비, 수수료 등을 빼고 한 달에 300만~400만 원씩 가져갔는데 지금은 한 달에 200만 원 정도입니다. 경유 가격이 38%나 폭등했기 때문에 수입이 줄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파업에 참여했기 때문에 화주가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하면 파업 이후 다시 화주와 싸워야 할 것"이라며 "생계를 넘어 목숨을 걸었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나올 수밖에 없는 절박함이 보이시나요? C 의원은 "국토부가 입법이 안 됐다며 국회를 밀어붙이고 있고, 국회도 손을 놓고 있습니다. 정부는 생존 문제를 놓고 정치적인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라고 그가 말했습니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제'를 전 품목과 전차로 확대, 유가 급등 등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관련법 제정을 국회가 검토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회 상임위에는 관련 법률이 1년 넘게 계류돼 있습니다. '안전 운임제'는 운임을 안전 운임보다 낮게 납부하면 운송업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2018년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을 통해 만들어진 '안전 운임제'는 2020년 1월부터 컨테이너·시멘트 분야로 한정됐다가 일몰제 등으로 올해 말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