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부담액 年2300억 원
구글의 앱 내 결제 정책을 따르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은 플레이 스토어에서 철수됩니다. 구글은 이미 지난달부터 플레이스토어에서 외부 결제 페이지로 링크를 삽입하는 앱의 업데이트를 금지했습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내달 1일부터 사실상 인앱 결제가 필요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인앱 결제는 사용자가 구글, 애플 등 앱 마켓 플랫폼 계정에 등록하는 결제 방식입니다. 구글은 앱 내 결제의 경우 최대 30%인 인앱 결제를 사용하거나, 제삼자 결제 시스템( 수수료의 26%)을 구축하지 않으면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앱 장터 사업자가 인앱 결제를 강제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의 전기 이용 사업법(구글 갑질 방지법) 개정안을 우회 처리했습니다. 앱 개발자와 콘텐츠 제작자들이 반발했고, 규제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도 "시행령을 위반할 우려가 있다"며 조사에 나섰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에도 앱 장터에서 불공정 행위가 있었다는 신고가 접수되고 있습니다. 전혜선 방통위 통신시장조사본부장은 "구글이 두 가지 결제수단을 제공했더라도 개발자 입장에서 충분한 옵션이 보장되지 않았다면 실질적인 옵션을 보장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글 +4100억 원, 소비자 -2300억 원
앱 개발자들이 구글 정책에 따라 신속하게 백기를 들고 수수료를 인상하면서 수수료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됐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제재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앱 개발사 관계자는 "구글에 대한 반발로 앱 삭제로 인한 피해를 견뎌낼 콘텐츠 업체는 사실상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구글 앱 마켓의 점유율이 70%를 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웨이브, 티빙 등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들이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구매한 티켓 금액을 15% 인상했고 네이버 카카오 웹툰도 콘텐츠 이용료를 20% 인상했습니다. Flow와 Vibe와 같은 음악 플랫폼도 스트리밍 서비스의 가격을 14~16% 인상했습니다. 콘텐츠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원에 따르면요. 김영식 의원실, 구글의 정책 시행으로 앱 개발자들이 구글에 지급한 수수료(게임 제외)는 연간 최대 8,331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구글은 올해 국내에서만 약 4,100억 원의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소비자들이 추가로 지불하는 금액은 연간 약 2,30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행정소송 제기 전망
방통위가 과징금 등 제재를 가할 경우 구글이 방통위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행정소송이 시작되면 장기전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고, 이 기간 앱 개발자들은 플레이스토어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앱 결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갑질 방지법의 취지가 제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법을 재정비해야 한다"며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앱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